이전글 보기
스테이지별 몬스터 기준 캐릭터 설정하기
원본 ↓ ↓ ↓ 제임스킴의 게임기획 (Click!!) ==================== 오늘은 제임스킴 선생님의 '제임스킴의 RPG게임 밸런스 기획' 중 4번째 강의인 '스테이지별 몬스터의 기준 능력치 설정하기'를 따라해
purityofmymind.tistory.com
원본 ↓ ↓ ↓
====================
오늘은 제임스킴 선생님의 '제임스킴의 RPG게임 밸런스 기획' 중
7번째 강의인 '적군 총 피해량 구하기'를 따라해봤습니다.
아래 제작한 모든 피피티와 자료는 해당 강의와 강의자료를 토대로 제작한 것입니다.
전체 슬라이드입니다.
피피티가 예쁘게 잘나왔네요. 음미하며 봐주세요....
목차입니다.
'적군 총 피해량 구하기' 챕터인데 전 챕터껄 그대로 썼네요.
청운의 찐-빠는 모두 의도가 있씁니다.
새끼... 기열!!!
00. 되돌아보기
[적군의 방어 능력치를 먼저 구한 이유]
저번 강의에서는 하나의 스테이지를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과 해당 요소들을 계산해내기 위한 조건을 살펴봤습니다.
스테이지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이 정했죠.
스테이지 구성 요소 ( 적군 방어력 및 체력 )
- 총 유효체력 ( 모든 몬스터 유효체력의 합 )
- 일반 몬스터의 수
- 보스 몬스터의 체력
해당 요소들을 뽑아내기 위한 조건은 다음 네가지 였습니다.
하위 4요소
- 일반 몬스터의 유효 체력
- 클리어 타임
- 플레이어 상태 ( 레벨 , 장비 등 )
- 스킬 포함 총 DPS
이런 요소들을 정리해서, 저번 포스팅에서 다양한 표와 그래프를 이용해 검산해보았습니다.
이 때, 지나가듯 보여드린 표가 있는데요.
사실 몬스터가 버티는 시간을 계산한 목적은 두가지입니다.
- 첫째, 적절한 시간이 배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
- 둘째, 적의 공격력을 구할 때 생존시간을 고려하여 피해량을 책정하기 위해
넵. 아무리 몹의 공격력이 강해도 때리기 전에 죽으면 말짱 꽝이고,
아무리 오래 살아도 공격력이 낮다면 유효한 피해를 줄 수 없겠지요.
이번 포스팅에선 이를 활용해서 적의 공격력을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몬스터가 주는 피해량을 계산해봅시다.
간단한 예시와 함께 말이죠!

우리는 기존 피해량을 모두 DPS ( Damage Per Second, 초당 대미지 ) 의 형식으로 구해왔습니다!
스테이지 2의 일반 몬스터 한마리가 지닌 초당 공격력은 212입니다.
이 때, 몬스터의 생존 시간을 10초라고 가정 한다면,
한 마리의 일반 몬스터가 생존할 동안 줄 수 있는 피해량은 총 2,120입니다.
기준의 설정과 활용.
누누히 강조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.
01. 일반 / 보스 몬스터의 공격력 설정하기
[추세선을 활용하여 적의 공격력을 설정해보자]
첫번째 포스팅을 기억하시나요.
임의의 값을 입력 후 추세선 기능을 활용해서 다양한 능력치를 설정했었습니다.
그 때 입력했던 값을 조금 수정해서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.
0.0214x^3 + 4.81x^2 + 13.4x + 200이 제가 설정한 일반 몬스터의 공격력 수식입니다.
여기서 상수항을 조금 수정해서 보스 몬스터의 공격력 수식을 설정했습니다.
상수항만 변경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첫째, 계수는 다항식의 특성상 치밀한 계산 없이 변경한다면 걷잡을 수 없이 큰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.
- 둘째, 보스 몬스터와 일반 몬스터의 피해량이 어느정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해야 합니다.
- 셋째, 마찬가지로, 보스 몬스터와 일반 몬스터의 피해량이 어느정도 일정한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.
넵. 이제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보겠습니다.
02. 일정 시간동안 줄 수 있는 피해량 체크하기
[플레이어의 체력을 구하는 데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]
생존시간으로 피해량을 구하기에 앞서, 일정 시간 ( 1분 ) 동안 얼마만큼의 피해를 줄 수 있는지 계산해봤습니다.
공격력의 비율은 약 4 ~ 10% 정도로, 5%를 예상했었으나 이 정도면 오차 범위내라고 이야기 할 수 있겠습니다.
상기 표를 보면 100 스테이지에서 몬스터 한 마리가 초당 줄 수 있는 피해는 71040으로
맵에 등장하는 23마리의 일반 몬스터가 일제히 공격한다면 초당 약 160만의 피해를 줄 수 있겠네요.
무섭습니다.
03. 생존 시간동안 줄 수 있는 피해량 체크하기
[플레이어의 체력을 구하는 데 지표로 활용할 예정입니다.]
이제 생존 시간을 알아보는 방법과 몬스터의 피해량 계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생존 시간은 ' 몬스터가 플레이어를 상대로 살아 남을 수 있는 예측 시간 ' 으로 정의하겠습니다.
즉, 몬스터의 유효체력을 플레이어의 스킬 포함 DPS로 나눈 값이 예측 시간 (초)입니다.
예상 생존 시간
= ( 몬스터의 유효 체력 ) / ( 플레이어의 DPS )
다음은 몬스터의 예상 피해량을 알아보겠습니다.
예상 피해량은 '생존 시간 동안 몬스터가 플레이어에게 가할 수 있는 피해량' 으로 정의하겠습니다.
그러면 요런 식이 튀어 나옵니다. 뿅하고.
예상 피해량
= ( 생존 시간 ) * ( 몬스터의 DPS )
= ( 몬스터의 유효 체력 ) / ( 플레이어의 DPS ) * ( 몬스터의 DPS )
04. 점검해보기
[올바른 식을 활용합시다.]
이 때, 일반 몬스터의 총 피해량을 구할 때 주의해야하는 점이 있습니다.
바로 유효체력에 대한 고려인데요.
( 초당 피해량 ) * ( 일반 몬스터의 수 ) * ( 전체 생존 시간 )
해당 식으로 계산을 하게 될 경우, 일반 몬스터가 일제히 공격을 하게 되는 경우만 상정하게 되어 실제 피해량과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.
아닛! 그럼 어떻게 고려를 하느냐.
넵. 한 마리의 예상 피해량을 구한 후, 곱해주셔야 합니다.
일괄적으로 처리하면 안되잉~
( 유효 체력 ) / ( 플레이어 DPS ) * ( 일반 몬스터의 DPS ) * ( 일반 몬스터의 수 )
= ( 일반 몬스터 예상 피해량 ) * ( 일반 몬스터의 수 )
이 점 유의하도록 합시다람쥐.
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. 모두 안녕~
다음은 제가 구글 스프레드 시트와 프레젠테이션으로 작성한 원문 문서입니다.
댓글 기능도 열어놓았으니 따끔한 조언의 말씀도 가능하십니다요.
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. 안녕~
'기획관련 > 기획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vP 콘텐츠에서 매칭 밸런스 작업하기 - 1부 (0) | 2022.07.04 |
---|---|
플레이어 캐릭터 방어력 및 체력 구하기 (0) | 2022.06.27 |
적군 방어력 및 체력 구하기 (0) | 2022.06.20 |
플레이어 캐릭터의 공격 능력치 설정하기 (0) | 2022.06.11 |
스테이지별 몬스터 기준 능력치 설정하기 (0) | 2022.06.04 |